::: 파이어폭스, 닫은 탭 다시 열기 버튼 :::
파이어폭스의 탭 기능 중에 자주 쓰게 되는 기능이 있습니다.
" 닫은 탭 다시 열기 " 기능인데요, 사용방법은 탭창에 우클릭을 하면 뜹니다.
( 스샷의 (U) 라고 회색으로 표시되 사용할 수 없는 기능입니다. Orz )
그런데 파이어폭스의 업데이트를 전후로 이 기능이 먹통이 되는 일이 꽤 자주 일어납니다! 1
원인은...업데이트 와중에 파이어폭스의 프로필(즐겨찾기, 추가기능, 히스토리등의 기록)이 꼬이기 때문.
해결책은 의외로 선택의 폭이 적습니다. 파이어폭스의 프로필을 리셋해야 합니다.
프로필을 리셋하기 위해선, 파이어폭스를 재설정해야 하는데요...까놓고 말해
파이어폭스를 리셋한다는 말입니다.
::: 추가내용 :::
파이어폭스 리셋으로 탭기능은 부활하였으나, 히스토리 관련 기능의 일부가 여전히 이상작동을
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래서 파이어폭스 히스토리을 전부 삭제해 보았습니다.
파이어폭스 이력삭제 설정화면
이력관련 기능이 정상작동하는 것을 확인.
탭복원 기능이 히스토리 기능과 무관하지 않은 만큼 리셋전에 이력삭제를 해볼 가치가 충분할 듯.
......이것저것 방법을 찾아보고 시도해 봤지만, 이것 외에 방법이 없더군요. ㅡ0ㅡ);;;
:: 파이어폭스 리셋을 위한 링크 :: https://support.mozilla.org/ko/kb/reset-firefox-easily-fix-most-problems ::
일단 리셋을 해야하는 건 부동의 사실이므로, 리셋 후 복원을 위한 팁과 검증되지 않은
버그 회피법에 대해서 간결히 언급한 후 포스팅을 마무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 간편한 파이어폭스 복원 :::
최신버젼의 파이어폭스는 계정을 통한 백업 및 복구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우측 상단의 〓 버튼을 누르신 뒤에 아래쪽에서 두번째 쯤에 보시면 있습니다.
계정을 만드신 후, 모든 설정에 체크를 넣으세요 ~ ㅡ0ㅡ)♥
즐겨찾기, 추가기능, 웹이력까지 전부 계정에 보존됩니다.
이 기능의 편리한 점은 휴대폰의 파이어폭스와도 연동이 가능하다는 점이죠.
뭐, 이 기능은 파이어폭스만의 기능은 아니고 크롬도 동일한 것이 가능합니다.
거꾸고 이야기하면 IE만 이 기능이 없군요. 하. 하. 하.
단 주의하실 점은 추가기능의 세부설정은 보존이 안 됩니다!
즐겨쓰시는 계정은 메모를 해두시던가, 사진을 찍어두시던가, 외우셔야 합니다.
계정에 백업을 하셨으면, 계정을 끊으신 뒤에 위의 링크를 통해 리셋해주세요. 2
그리고 리셋 후, 파이어폭스 계정에 재로그인 하시면 됩니다. (간단하내요?)
::: 검증되지 않은 버그 회피법 :::
파이어폭스의 홈페이지 설정을 " about:blank "로 해두면 이 버그에 빠질 확률이 높아진다는 설이 있습니다.
그러니까 회피방법은...블랭크가 아니라 무언가의 주소를 넣어두는 것 입니다.
다만, 검증되지 않은 극소수의 썰에 불과한지라...그닥 기대는...( __);;
'서고 : 취미잡기 (Hobby) > 소프트웨어, 앱 (Software, Ap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는 크롬과 사이가 나쁘다? (1) | 2017.02.08 |
---|---|
::: 인공지능을 이용한 고품질 이미지 확대 웹서비스 'waifu2x-multi' ::: (2) | 2016.03.17 |
:::: AutoCAD ac1st16.dll is missing :::: (0) | 2015.04.21 |
:::: Photoshop Lightroom import error 해결방법 :::: (0) | 2015.04.04 |
:::: Samsung Data Migration, 빌어먹을 쓰지마!! :::: (0) | 2015.04.01 |
:::: Mi 밴드 앱, Mi Fit 사용법 완전해설 매뉴얼 :::: (0) | 2015.03.23 |
:::: Microsoft ICE, 몇년만에 업데이트!!! :: 방안풍경 :::: (0) | 2015.03.21 |
:::: 아이나비 GPS 오류, 펌웨어 다운그레이드로 해결 + 내용추가 :::: (1) | 2015.03.21 |
:::: 파이어폭스 고속화 애드온 정리 ( Ver.36.0.1 ) :::: (0) | 2015.03.20 |
[긴급중요] 2014.12.10 update KB3002339 업데이트 치명적 결함 (0) | 2014.12.11 |